Linux

Linux Centos 7 설치 및 설정 팁(?)

문쿼리 2019. 8. 1. 17:33

개발환경 구성을 위한 설치와 설정을 간단히 기록해보려 한다. 

 

 

1. Linux & Centos 설치


설치 자체는 둘다 간단하기에 스킵하나 Centos 같은 경우는 아래 화면에서 멍때릴 수 있다.

아무거나 눌러도 무관하다고 하고 싶지만, 속도적인 면에서 상위 4개가 우수하다고 한다. (필자는 카카오로 설치함)

 

* Virtual Box ( https://www.virtualbox.org/ )

* Centos ( http://isoredirect.centos.org/centos/7/isos/x86_64/CentOS-7-x86_64-Minimal-1810.iso )

Centos 사이트 화면

 

2 - 1. Centos 설정

이제 버추얼 머신에서 centos 설정을 해보자.

실행을 하고 붉게 표시 된 새로 만들기를 누르면, 아래의 '가상 머신 만들기' 창이 나타난다.

VirtualBox 실행 및 새로 만들기

각 입력 창에 희망하는 값을 넣어주면 된다.

( Linux / Linux 2.6 / 3.x / 4.x (64-bit) ) 선택.

name tip : 동일 환경에서 작업하는 여러 리눅스 서버가 생길 것을 대비하여 .iso 파일의 이름과 동일 한 이름의 서버를 생성하고 복제하여 사용하는 것이 편리하다고 한다. ( 필자의 경우 'CentOS-7-x86_64-DVD-1810' )

 

다음!

 

VirtualBox 가상 메모리 할당과 작업관리자의 [성능] 탭

사용중인 PC의 성능이 좋다면 아무렇게나 해도 된다. (고로 나는 안된다.)

memory tip : pc의 여유 메모리 정보를 참고하기 위해 '작업 관리자'를 실행 시키고 상단의 [성능] 탭을 보자.

필자의 경우 15.9GB 중 7.8GB가 사용중이니 남은 양의 절반인 4GB를 주었다.

 

다음!

 

기본으로 '지금 새 가상 하드 디스크 만들기'가 선택되어 있다.

특수한 상황이 아니라면 그대로 선택하면 되겠다.

 

만들기!

 

잠시 멍해지는 화면이 나오는데, 검색해보니 호환되는 포맷 형식(?)을 정해주는 친구들인것 같다.

이번에도 그대로 넘어가면 되겠다.

 

다음!

 

메모리 동적할당! 그대로! 파일 위치 및 크기 설정은 더 크게 줘도 상관없다고 한다! 최대로! 2TB

 

 

2 - 2. Centos 설정

이제 만들어진 리눅스의 설정을 해보자. '새로 만들기' 옆의 '설정'을 통해 아래의 화면을 들어가면 된다.

서버 설정

일반 - [고급] - 클립보드 공유, 드래그 앤 드롭 - 양방향 ( 윈도우 파일 ctrl+c, 리눅스에 ctrl+v 허용 )

시스템 - [마더보드] - 부팅 순서 - 광 디스크, 하드 디스크 선택 ( 플로피는 안쓰고, 네트워크는 상황에 따라 )

                            플로피의 부팅 순서를 밑으로 내린다.

시스템 - [프로세서] - 프로세서 개수 - CPU 2개 ( 동시 작업이 필요 할 수도 있어서 )

시스템 - [프로세서] - 실행 제한 - 95% ~ 98% ( 리눅스에서 장애 발생시 종료 시킬 때 사용할 최소한의 양을 남겨둠. )

* 경고( lowering the processor execution cap may result in a decline in performance )가 나올텐데 해석하면

'설정 상한을 낮추면 성능이 낮아 질 수도 있다~' 인데 필자는 무시하기로 했다. 맞는 말이니까 뭐..

 

오디오 - 사용안함. ( 뭔가 들을 일이 없음 )

네트워크 - 어댑터 1 - 사용하기 - 다음에 연결됨 - 어댑터에 브리지 ( windows의 이더넷을 통해 네트워크를 공유?함 )

   유선 인터넷인 경우 Family 와이파이인 경우 Wireless를 선택하면 된다.

 

기본 설정 끝!

 

 

3. Centos 실행 설정

리눅스를 시작하면 'INSTALLATION SUMMARY'가 나올 것이다. ( 거의 끝나간다. )

INSTALLATION SUMMARY

DATE & TIME - Asia/Seoul

KEYBOARD / LANGUAGE SUPPORT - English +KOREAN

 

INSTALLATION SOURCE - X

SOFTWARE SELECTION - Minimal Install - Debugging Tools, System Adminstraion Tools

SOFTWARE SELECTION - GNOME Desktop - Internet Applications

 

INSTALLATION DESTINATION

KDUMP - X

NETWORK & HOST NAME - Ethernet ON

SECURITY POLICY - X

 

다 하고 나서 넘어가면 Install 중간에 ROOT 계정 비밀번호 설정과 유저 설정이 나오는데 설정을 마치면, Install이 이어서 시작된다.

 

이후 등록한 유저로 접속하던가 root 계정으로 접속이 가능해 진다.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VirtualBox 에러정리 #01  (0) 2020.09.01